금연이 도저히 힘들다면, 흡연량을 줄이는 것부터 해봅시다. 아예 끊지 않고 피우는 담배 개수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암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
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,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담배를 피운 경험이 있는 국가건강검진 참여자 89만 3582명을 대상으로 암 발생 위험을 분석했습니다. 연구팀은 2009년과 2011년 두 차례 모두 국가건강검진에서 밝힌 흡연력을 토대로 2018년까지 흡연량 변화에 따른 암 발생 여부를 추적 조사했습니다. 연구 대상자는 40세 이상으로 평균 추적 관찰 기간 6.1년 동안 5만 869명이 암을 진단받았습니다. 이 가운데 81%가 흡연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됐습니다.
연구팀은 실험 대상자를 하루 평균 흡연한 담배 개비 수 기준으로 금연군, 감연군, 유지군, 증가군으로 구분했습니다. 이들 중 금연에 성공한 사람은 20.6%에 불과했습니다. 흡연량을 줄인 사람은 18.9%였습니다. 절반에 가까운 45.7%는 평소 피던 그대로 흡연을 유지했습니다. 기존보다 20% 이상 흡연량을 늘린 사람도 14.8%로 적지 않았습니다.
연구팀이 암 발생 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지군과 비교했을 때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암 발생 위험이 가장 낮았습니다. 전체 암을 통틀어서는 6%, 흡연 관련 암은 9%, 폐암은 21%까지 발생 위험을 낮췄습니다. 담배를 끊지 못했더라도 흡연량을 줄인 경우 암 발생 위험이 낮아졌습니다. 흡연량을 50% 이상 감연한 경우 유지군보다 전체 암 발생은 4%, 흡연 관련 암은 5%, 폐암은 17% 정도 위험도를 줄였습니다.
금연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다시 담배를 피운 경우는 암 발병 위험도 다시 치솟았습니다. 연구팀이 두 차례 건강검진에 이어 2013년 건강검진 자료까지 있는 사람 68만 2996명을 추가로 분석해 금연 중인 사람과 금연 후 다시 흡연하기 시작한 사람의 암 발생 위험을 비교했습니다. 금연 이후에 다시 담배를 피운 그룹은 이전 흡연량의 50% 이상으로 감연하더라도, 금연 상태를 유지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 흡연 관련 암은 19%, 폐암은 48%까지 발생 위험도가 다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신동욱 교수는 “안전한 흡연 수준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에 흡연자라면 지금 당장 담배를 끊는 게 건강에 가장 좋다”면서 “금연에 실패했다고 낙담하지 말고 일단 흡연량을 충분히 줄여 위험을 낮추고, 최종적으로 담배로부터 해방되어야 암 걱정을 덜 수 있다”고 했습니다. 유정은 교수는 “그동안 금연 이후 다시 담배를 피우는 것이 암 발생 위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”며 “금연 후 재흡연 시 암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니 어렵게 금연에 성공했으면 반드시 금연 상태를 지속해야 한다”고 했습니다.
한편,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암협회지(Cancer)에 최근 게재됐습니다.
2022.04.08 - [분류 전체보기] - 발 냄새가 유독 '고약한' 이유는?
발 냄새가 유독 '고약한' 이유는?
단백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. 2018년에 800억원이었던 것이 2020년엔 2500억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. 올해는 4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1세대 단백질 시장이 운동하
hala3.newsmap.co.kr
댓글